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입문 가이드 살펴봐요

by CarMania 2025. 4. 8.

사회초년생 재테크,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분들, 이른바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재테크 입문 가이드를 준비해봤어요. 저 역시 몇 년 전만 해도 월급 받으면 그대로 다 써버리고, 적금조차 하나 없던 그런 시절이 있었거든요.

 

1. 월급 통장은 따로, 저축 통장은 따로!

첫 월급을 받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통장 쪼개기입니다. 통장 하나에 입출금, 저축, 소비, 비상금까지 다 섞여 있으면 결국 '얼마가 남았는지' 파악도 어렵고, 통장이 언제나 텅 비어 있어요.

저는 이렇게 나눴어요:

  • 1번 통장: 월급 입금 & 고정지출 (자동이체용)
  • 2번 통장: 저축용 (적금, 비상금 등)
  • 3번 통장: 생활비 & 자유 소비

이렇게 나눠놓으면, 내가 ‘쓸 수 있는 돈’과 ‘건드리면 안 되는 돈’이 명확하게 구분돼요. 특히 저축 통장은 자동이체로 월급 받자마자 일정 금액을 분리하는 게 핵심입니다. 안 그러면 또 다 써버려요 😅

2. 비상금 100만 원부터 모으자

사회초년생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재테크는 사실 투자도 아니고, 주식도 아닙니다. 바로 비상금 만들기에요. 갑작스런 병원비, 이사비, 부모님 용돈 등 예기치 못한 지출은 꼭 발생하거든요.

그래서 저는 처음에 급여의 10~20%를 모아서 비상금 통장을 만들었고, 약 100만 원 정도 모을 때까지는 투자도 안 했어요. 그냥 수시입출금 계좌에 두고 ‘아무 일도 없으면 안 건드린다’는 원칙만 지켰죠.

3.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로 시작

사회초년생 시절엔 소비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 사용을 추천드려요. 소비 습관이 제대로 잡히기 전에는 '한도'라는 개념이 오히려 위험해요.

실제로 저도 사회 초기에 신용카드를 써봤다가 다음 달 고지서를 보고 식겁한 기억이 있어요. 그 이후로는 체크카드 위주로 쓰고, 신용카드는 ‘고정비 자동결제’ 정도로만 활용합니다.

4. 재테크는 마라톤, 꾸준함이 답이다

재테크는 단기간에 부자가 되는 게 목표가 아니에요. 사회초년생 때는 기초 체력을 다지는 시기라고 보면 됩니다. 적금, 예산관리, 소비습관 형성, 신용관리… 이 모든 게 결국 투자할 때 큰 자산이 돼요.

그리고 꼭 기억하세요. 지금의 소액 저축도 **시간**이 지나면 큰 돈이 됩니다. 복리의 마법은 결국 꾸준한 사람에게 일어나거든요.

마무리하며

누구나 처음엔 서툴고 어려워요. 하지만 지금 한 걸음 내디딘 게 나중에는 '왜 그때 안 했을까' 하는 사람들과의 큰 차이를 만들어줘요. 오늘부터 커피값 1잔 아껴서 저축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실천이 미래의 큰 차이를 만들어줍니다. 우리 같이 천천히, 꾸준히 해봐요 😊